<h1 style="text-align: center;"><strong><span style="color:#ffffff;"><span style="font-size:22px;"><span style="background-color:#000000;"></span></span></span></strong></h1>
<br />
<br />
<br />
<p style="text-align: right;"><strong><span style="color:#ffffff;"></span></strong></p>
<h1 style="text-align: center;"><span dir="ltr"><strong><span style="font-size:24px;">< BEHIND THE ARCHIVE >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 24px;"><br />
<br />
EP. 5 Kim Younggyun / Creator</span></strong></span></h1>
<div style="text-align: center;"><br />
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8px;">|</span><br />
<br />
<br />
<br />
</div>
<h1 style="text-align: center;"><span style="font-family:Tahoma,Geneva,sans-serif;"><span style="font-size:16px;"></span></span></h1>
<div style="text-align: center;"><span style="font-size:16px;">비하인드 더 아카이브는 온더스팟이 주목하는 인물들의 관점에서 풀어낸 삶과 일에 관한 이야기입니다.</span>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;"></span>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;"></span>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;"></span><br />
<br />
<br />
<img alt="" src="https://image.a-rt.com/art/editor/202408/1723452676689.jpg" style="width: 1200px; height: 1804px;" /></div>
<div> </div>
<div> </div>
<div><br />
<br />
</div>
<div style="text-align: left;"><strong><span style="font-family:"맑은 고딕""><span lang="EN-US"><span style="font-size:20px;">Q. 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20px;">자기소개를 부탁해요.</span></span></strong>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;"></span>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;"></span><br />
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16px;"><span style="font-family:"맑은 고딕"">안녕하세요. 연남동에서 이런저런 창작화동을 하고 있는 <strong><a href="https://www.instagram.com/kimyounggyun_/"><span style="color:#3498db;">김영균(@kimyounggyun_)</span></a></strong>이라고 합니다.</span></span>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;">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11pt"><span style="font-family:"맑은 고딕""><span lang="EN-US" style="font-size:12.0pt"></span></span></span><br />
<br />
<br />
<strong><span style="font-family:"맑은 고딕""><span lang="EN-US">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"맑은 고딕""><span lang="EN-US"><span style="font-size:20px;">Q. 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20px;">예술고등학교를 졸업 후 대학교에서 금속공예를 전공했다고 알고 있어요. </span></span></strong></span>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;"></span>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;"></span><br />
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16px;"><span style="font-family:"맑은 고딕"">8살 때부터 쭉 미술을 했어요. 서양화부터 동양화까지 그리다가 고등학교 때부터 본격적으로 디자인 전공을 준비하기 시작했어요.</span></span><br />
<br />
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16px;"><span style="font-family:"맑은 고딕"">아무래도 미술을 했다고 하면 그림을 잘 그리는 줄 아시는 분들이 간혹 있는데 사실 대학교를 가서도 제 그림 실력은 형편없었어요.<br />
<br />
<br />
그럼에도 이걸 꼭 해야겠다는 생각은 변함없이 늘 있었던 것 같아요.</span></span>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;"><br />
<br />
<br />
<br />
<br />
<img alt="" src="https://image.a-rt.com/art/editor/202408/1723452688790.jpg" style="width: 1200px; height: 1804px;" /><br />
<br />
<br />
<img alt="" src="https://image.a-rt.com/art/editor/202408/1723452701661.jpg" style="width: 1200px; height: 1804px;" /><br />
<br />
<br />
<br />
<br />
<br />
<strong><span style="font-family:"맑은 고딕""><span lang="EN-US">Q. </span>3D 프린팅을 창작을 위한 퍼포먼스에 접목시킨 계기가 있었나요? </span></strong></span><br />
<br />
<br />
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16px;"><span style="font-family:"맑은 고딕"">대학교 3학년 때 손가락 힘줄의 대부분이 끊어지는 사고가 있었는데, 더 이상 작업을 하기 어려울 정도였어요.<br />
<br />
<br />
그때 교수님께서 대안으로 3D 프린팅을 제안해 주셔서 시작하게 됐어요. </span></span>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;"></span><br />
<br />
<font face="맑은 고딕"><span style="font-size: 16px;">당시 국내에서 3D 프린팅은 굉장히 생소한 가공 공정이긴 했어요.</span></font>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16px;">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20px;">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20px;"></span><br />
<br />
<br />
<br />
<br />
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16px;"></span><img alt="" src="https://image.a-rt.com/art/editor/202408/1723449482895.jpg" style="width: 1200px; height: 798px;" /><br />
<br />
<br />
<img alt="" src="https://image.a-rt.com/art/editor/202408/1723449505027.jpg" style="width: 1200px; height: 1804px;" /><br />
<br />
<br />
<img alt="" src="https://image.a-rt.com/art/editor/202408/1723449544678.jpg" style="width: 1200px; height: 1804px;" />
<div> </div>
<div><br />
<br />
<br />
</div>
<div style="text-align: left;"><strong><span style="font-family:"맑은 고딕""><span lang="EN-US"><span style="font-size:20px;">Q. 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20px;">직접 전개하고 있는 브랜드인 '맨프롬이스트(Manfromeast)'의 소개 글에 'I'm from the east'라고<br />
<br />
적힌 문구가 인상적이면서 재미있게 느껴졌어요.</span></span></strong>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;"></span>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;"></span><br />
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16px;"><span style="font-family:"맑은 고딕"">다들 궁금해하시는데 사실 단순한 의미예요. 제 고향이 강원도 강릉이고, 서울을 기준으로 보면 저는 동쪽에서 온 사람이니까요.<br />
<br />
<br />
고향에서 보낸 유년 시절을 간직하고 싶은 마음에 적은 문구입니다. </span></span>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;"><br />
<br />
<br />
<br />
<strong><span style="font-family:"맑은 고딕""><span lang="EN-US">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"맑은 고딕""><span lang="EN-US"><span style="font-size:20px;">Q. 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20px;">'맨프롬이스트(Manfromeeast)'를 만들게 된 이유를 들려주세요.</span></span></strong></span>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;"></span>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;"></span><br />
<br />
<font face="맑은 고딕"><span style="font-size: 16px;">3년 전쯤 작업실에서 평창 동계 올림픽 마스코트인 '반다비(Bandabi)'를 보다가 아이디어가 떠올랐어요.</span></font><br />
<br />
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16px;"><span style="font-family:"맑은 고딕"">반달가슴곰 캐릭터였는데 강원도를 상징하는 동물 중 하나였거든요. 저는 강원도에서 온 사람이니까 반달가슴곰으로 <br />
<br />
<br />
오브제를 만들면 웃기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시작하게 됐습니다.</span></span>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;">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20px;"><br />
<br />
<br />
<br />
<br />
<img alt="" src="https://image.a-rt.com/art/editor/202408/1723449964612.jpg" style="width: 1200px; height: 1804px;" /></span><br />
<br />
</div>
<img alt="" src="https://image.a-rt.com/art/editor/202408/1723449984826.jpg" style="width: 1200px; height: 1804px;" />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;"></span>
<div><span style="font-size:20px;"></span><br />
<br />
<br />
<br />
</div>
<div style="text-align:left"><strong><span style="font-family:"맑은 고딕""><span style="font-size:20px">Q. 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20px">'아르시(Ars+Y) 스튜디오'라는 이름으로 선보이는 작업들은 기하학적이면서 추상적인 느낌을<br />
<br />
받았는데, 좀 더 개인적으로 선호하는 취향이 반영된 결과인가요?</span></span></strong>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"></span>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"></span><br />
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16px"><span style="font-family:"맑은 고딕"">개인 작업의 출발점이기도 하면서 제 성향이 가장 많이 반영된 결과물이에요. 대학생 때부터 가공 기술에 기반한 실험적이고 구조적인 형태에<br />
<br />
<br />
관심이 많았는데 이런 부분들이 반영된 거라고 볼 수 있어요. </span></span>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"><br />
<br />
<br />
<strong><span style="font-family:"맑은 고딕""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"맑은 고딕""><span style="font-size:20px">Q. 일반적으로는 취향에 따라 일관성을 가지기 마련인데, 각 카테고리의 작업물들을 놓고 보면<br />
<br />
자석의 극성처럼 완전히 반대되는 것 같아요. 보기와 다르게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까요? </span></span></strong></span>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"></span>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"></span><br />
<br />
<font face="맑은 고딕"><span style="font-size: 16px;">지금까지는 양 극에 있었는데 앞으로 유기적으로 연결이 될 것 같아요. </span></font><span style="font-size:16px"><span style="font-family:"맑은 고딕"">저는 무언가 만드는 데 있어서는 반복되는 걸 선호하지 않거든요. </span></span><font face="맑은 고딕"><span style="font-size: 16px;"></span></font><br />
<br />
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16px"><span style="font-family:"맑은 고딕"">공개하지는 않았지만 양 극에 있는 특성들이 뒤섞인 작업들을 시도해 보고 있어요.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;"></span><br />
<br />
<br />
<br />
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"><strong><span style="font-family:"맑은 고딕""><span style="font-size:20px">Q. 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는 나만의 기준을 한 단어로 정의한다면요?</span></span></strong></span></span></span><br />
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"></span><br />
<br />
<font face="맑은 고딕"><span style="font-size: 16px;">'수용성'이라고 정의하고 싶습니다.</span></font>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;">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20px;"></span><br />
<br />
<br />
<br />
<font face="맑은 고딕"><span style="font-size: 16px;"><span style="font-size:20px;"><br />
<br />
<img alt="" src="https://image.a-rt.com/art/editor/202408/1723450647733.jpg" style="width: 1200px; height: 1804px;" /></span></span></font>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;"></span><br />
<br />
<br />
<br />
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"><strong><span style="font-family:"맑은 고딕""><span style="font-size:20px">Q. 궁극적으로 창작에서 가장 중요한 건 뭐라고 생각하나요? </span></span></strong></span>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"></span>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"></span><br />
<br />
<font face="맑은 고딕"><span style="font-size: 16px;">'본질'이 아닐까요? '창작'이란 건 자신이 쌓은 방벽을 무너뜨리고 다시 쌓는 것이라고 생각해요.</span></font><br />
<br />
<br />
<font face="맑은 고딕"><span style="font-size: 16px;">그래서 타인에게 보이는 것보다 제가 생각하는 '창작'에 대한 '본질'이 중요한 것 같아요.</span></font><br />
<br />
<br />
<br />
<br />
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"><strong><span style="font-family:"맑은 고딕""><span style="font-size:20px">Q. 하나의 결과물이 나오기까지 디자인부터 모든 과정을 직접 한다고 들었는데 보통 일이 아닐 것 같아요. </span></span></strong></span>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"></span>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"></span><br />
<br />
<font face="맑은 고딕"><span style="font-size: 16px;">전공 수업 과정에 금속 외의 물성들을 다루는 것뿐만 아니라 2D, 3D 프로그램을 비롯해서 사진 수업까지 있었거든요.</span></font><br />
<br />
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16px"><span style="font-family:"맑은 고딕"">그 영향 때문에 많은 과정을 직접 하다 보니 익숙해진 것 같아요. </span></span>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">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20px"></span><br />
<br />
<br />
<br />
<font face="맑은 고딕"><span style="font-size:16px"><span style="font-size:20px"></span></span></font>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"><strong><span style="font-family:"맑은 고딕""><span style="font-size:20px">Q. 디자인에 있어 영감을 주는 소스는 어디에서 찾는 편인가요? </span></span></strong></span>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"></span>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"></span><br />
<br />
<font face="맑은 고딕"><span style="font-size: 16px;">일상생활에서 접하는 모든 것이요. 평소에도 여러 가지에 대해 관찰하고 찾아보는 걸 좋아하는데, </span></font><br />
<br />
<br />
<font face="맑은 고딕"><span style="font-size:16px">누군가는 무심코 지나치는 부분들이 누군가에게는 영감을 주는 소스가 될 수 있잖아요. </span></font><br />
<br />
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16px;">그래서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경로를 통해 소스를 찾기보다 접하는 것들을 다른 시각으로 바라보고 그 안에서 저만의 영감을 찾으려고 하는 것 같아요.</span>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;"><br />
<br />
<br />
<br />
<br />
<img alt="" src="https://image.a-rt.com/art/editor/202408/1723450915743.jpg" style="width: 1200px; height: 1804px;" /><br />
<br />
<br />
<img alt="" src="https://image.a-rt.com/art/editor/202408/1723450929836.jpg" style="width: 1200px; height: 1804px;" /><br />
<br />
<img alt="" src="https://image.a-rt.com/art/editor/202408/1723450977159.jpg" style="width: 1200px; height: 798px;" /></span><br />
<br />
<br />
<br />
<br />
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"><strong><span style="font-family:"맑은 고딕""><span style="font-size:20px">Q. 디자인부터 모델링, 출력까지 작업 과정마다 소요 시간이 꽤 거릴 것 같은데, 물리적으로 필요한<br />
<br />
시간으로부터 인한 공백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도 궁금해요.</span></span></strong></span>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"></span>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"></span><br />
<br />
<font face="맑은 고딕"><span style="font-size: 16px;">맨프롬이스트나 개인 작업 이외에도 아트팀, 에이전시, 브랜드 외주 혹은 협업도 병행을 하고 있어서</span></font><br />
<br />
<br />
<font face="맑은 고딕"><span style="font-size:16px">3년 전부터는 물리적 시간의 공백이 없을 정도로 바쁘게 지냈어요. 출력이나 제작에 들어간 프로젝트가 있으면 남는 시간에<br />
<br />
<br />
디자인 및 모델링 작업을 하는 식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. </span></font>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;"><br />
<br />
<br />
<br />
<br />
<img alt="" src="https://image.a-rt.com/art/editor/202408/1723451273690.jpg" style="width: 1200px; height: 1804px;" /><br />
<br />
<br />
<img alt="" src="https://image.a-rt.com/art/editor/202408/1723451293255.jpg" style="width: 1200px; height: 1804px;" /></span><br />
<br />
<br />
<br />
<br />
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"><strong><span style="font-family:"맑은 고딕""><span style="font-size:20px">Q. 매체 인터뷰를 하거나 다양한 클라이언트와 작업을 하는 건 그만큼 결과물이 긍정적인 반응을<br />
<br />
이끌어내고 있다는 걸 의미한다고도 볼 수 있을 텐데, 실감이 드는 부분이 있는지요?</span></span></strong></span>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"></span>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"></span><br />
<br />
<font face="맑은 고딕"><span style="font-size: 16px;">프로젝트나 인터뷰를 제안받을 때 '어떤 작업을 봤는데 좋게 봐서 같이 하고 싶었다'라고 말씀해 주시면 실감이 나요.</span></font><br />
<br />
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16px"><span style="font-family:"맑은 고딕"">진심으로 감사한 분들이 너무 많습니다. </span></span><br />
<span style="font-family:"맑은 고딕""><span style="font-size:20px;"><br />
<br />
<br />
<br />
<br />
<img alt="" src="https://image.a-rt.com/art/editor/202408/1723451430019.jpg" style="width: 1200px; height: 1804px;" /><br />
<br />
<br />
<img alt="" src="https://image.a-rt.com/art/editor/202408/1723451485365.jpg" style="width: 1200px; height: 1804px;" /></span></span><br />
<br />
<br />
<br />
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16px"><span style="font-family:"맑은 고딕"">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"><strong><span style="font-family:"맑은 고딕""><span style="font-size:20px">Q. 상대적으로 관심 있게 지켜보고 있는 브랜드나 콘텐츠가 있다면요? </span></span></strong></span></span></span><br />
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"></span><br />
<br />
<font face="맑은 고딕"><span style="font-size:16px">'QH(Quispiam Habilis)'라는 브랜드인데 10년 지기 친구들이 운영하는 브랜드예요. <br />
<br />
<br />
유행이 빠르고 대부분 쫓아가기 바쁜 시대에서 뿌리가 단단한 브랜드라고 생각해요.</span></font>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">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20px">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20px;"></span><br />
<br />
<br />
<br />
<font face="맑은 고딕"><span style="font-size:16px"><span style="font-size:20px"></span></span></font><span style="font-size:20px;"><br />
<img alt="" src="https://image.a-rt.com/art/editor/202408/1723451789141.jpg" style="width: 1200px; height: 1804px;" /><br />
<br />
<br />
<img alt="" src="https://image.a-rt.com/art/editor/202408/1723451808431.jpg" style="width: 1200px; height: 1804px;" /></span><br />
<br />
<br />
<br />
<br />
<br />
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"><strong><span style="font-family:"맑은 고딕""><span style="font-size:20px">Q. 스트리트 컬처를 기반으로 한 브랜드와 협업도 많이 했다고 알고 있어요.<br />
<br />
기억에 남는 에피소드가 있다면 함께 들려주세요. </span></span></strong></span>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"></span>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"></span><br />
<br />
<font face="맑은 고딕"><span style="font-size:16px">'더 차일드 후드 홈(The Childhood Home)'이라는 로컬 숍과의 협업이 기억에 남아요. </span></font><br />
<br />
<br />
<font face="맑은 고딕"><span style="font-size:16px">맨프롬이스트를 시작했을 때 처음으로 입점 제안을 주셨던 숍인데요. 그때의 감정이 기억에 많이 남아요.</span></font><br />
<br />
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 16px;">이후 협업한 작업들이 만족스럽게 나와서 기분이 더 좋았고요.</span><br />
<br />
<br />
<br />
<br />
<br />
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 20px; height: 1804px;"><img alt="" src="https://image.a-rt.com/art/editor/202408/1723452145147.jpg" style="width: 1200px; height: 1804px;" /></span><br />
<br />
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 20px; height: 1804px;"><img alt="" src="https://image.a-rt.com/art/editor/202408/1723452166186.jpg" style="width: 1200px; height: 1804px;" /></span><br />
<br />
<br />
<br />
<br />
<br />
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 20px;"><strong><span style="font-family:"맑은 고딕""><span style="font-size:20px">Q. 꼭 함께 작업해 보고 싶은 브랜드나 아티스트가 있을까요? </span></span></strong></span>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"></span>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"></span><br />
<br />
<font face="맑은 고딕" style="font-size: 20px;"><span style="font-size:16px">'그렉 로스(Greg Ross)'라는 브랜드를 위해 의자를 만들어보고 싶어요</span></font><br />
<br />
<br />
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 20px;"><br />
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"><strong><span style="font-family:"맑은 고딕""><span style="font-size:20px">Q. 창작자로써 무언가를 계속 만들고 있다면 그게 무엇이며, 어떤 목적을 담고 있었으면 하나요? </span></span></strong></span>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"></span>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"></span></span><br />
<br />
<font face="맑은 고딕"><span style="font-size: 16px;">제 작업은 지극히 개인적이에요. 어떠한 사회적 메시지나 담론이 담겨 있다기 보다 조형 언어로 풀어낸 미학적인 오브제를 만들고 있다고 생각하거든요.<br />
<br />
<br />
살면서 발생하는 부산물들이 오브제로 시각화된 거죠. 결국은 제 삶과 얽혀 있는 것 같아요.</span></font><br />
<br />
<br />
<font face="맑은 고딕"><span style="font-size:16px">그것들이 쌓여서 제가 살아있는 동안 걸어온 발자취로 남았으면 좋겠어요.</span>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;"><br />
<br />
<br />
<br />
<br />
<br />
<img alt="" src="https://image.a-rt.com/art/editor/202408/1723452432246.jpg" style="width: 1200px; height: 1804px;" /></span></font><br />
<br />
<br />
<br />
<br />
<br />
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"><span style="font-size:20px"><strong><span style="font-family:"맑은 고딕""><span style="font-size:20px">Q. 자신의 관점에서 일이나 삶을 대하는 태도가 있다면요? </span></span></strong></span>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"></span>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"></span></span><br />
<br />
<font face="맑은 고딕"><span style="font-size:16px">'중용(</span></font><span style="font-size:16px;"><span style="font-family:"맑은 고딕"">中庸)'을 지키려 노력해요. 어느 극단에 치우치는 자세를 지양하는 거죠. </span></span><font face="맑은 고딕"><span style="font-size:16px"><br />
<br />
<br />
사람들과의 관계나 여러 현상에 대해서 중용적인 태도를 지키려고 해요. 나이가 들수록 자아가 단단해지는 경우가 많잖아요.</span></font><br />
<br />
<br />
<font face="맑은 고딕"><span style="font-size:16px">그러다 보면 무언가를 판단할 때 이면을 보기가 힘들어지니까 제 결을 무조건적으로 고집하기보다 다른 방식이나 스타일을 가까이 두려고 합니다. </span>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20px;"></span></font><br />
<br />
<br />
<br />
</div>
<div class="lh-video-wrap">
<div class="lh-video-inner">
<div style="text-align: center;">
<video autoplay="" controls="" height="50%" loop="" muted="" poster="" width="50%"><source src="http://api.wecandeo.com/video/default/BOKNS9AQWrG4BEgc1gbbKNHd023xknvmDC1LP2ejgcoXGzOrkpiiJefMxzxNx4FQQTfXlC54XLxrq0FMVf3s9kwieie.mp4" /></video>
</div>
</div>
</div>
<br />
<br />
<br />
<br />
<br />
<hr /><br />
<span style="font-family:"맑은 고딕""><br />
<strong>[장소 협찬]</strong></span><br />
<span style="font-family:"맑은 고딕""><strong><a href="https://www.instagram.com/pdf_seoul/"><span style="color:#3498db;"></span></a></strong><br />
<br />
<a href="https://www.instagram.com/soundsgood_store/"><span style="color:#3498db;"><strong>사운즈 굿 (@soundsgood_store)</strong></span></a> / 서울 마포구 성미산로29길 26</span><br />
</div>